목록Linux (35)
hann-blume
RPM은 우리가 리눅스를 사용할 때 필요한 패키지가 있을 경우 해당 패키지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한다. 기본적인 사용방법을 알아보자 패키지 설치 # rpm -ivh [패키지 전체 이름] 이 세가지 옵션은 공식으로 다같이 쓴다고 알고있자. 옵션 -i install 설치한다 -v verbose 설치과정을 보여준다 -h hash마크로 진행현황을 보여준다 패키지 삭제 # rpm -e [패키지 명] 옵션 e erase 삭제 패지키 삭제시 [패키지 명]은 패키지 설치 시 [패키지 전체 이름] 과는 다르다. 패키지의 이름은 기본적으로 패키지명, 패키지버전, 시스템아키텍쳐, 확장명 으로 이루어져있는데( 이 부분은 아래서 다시 설명하겠다) 설치 시에는 말그대로 전체이름(Full Name)을 입력해야하고 삭제시에는 패키지명..

리눅스 시스템에는 umask라는 것이 있다. umask가 무엇인지 알기전에 확인을 먼저 해보자 # umask umask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뜬금없이 0022라는 숫자가 나타난다 그럼 이번에는 # nl /etc/bashrc 라는 명령을 입력해보자. 여기서 nl은 number line으로 문서를 열때 줄 숫자를 보여주어서 몇번째 줄인지 쉽게 볼 수 있게 해준다. 중간 부분 66번째 줄과 68번째 줄을 보자. 66번째 줄 = umask 002 68번째 줄 = umask 022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umask값은 이용자에 따라 디렉터리나 파일을 만들 때 허가권을 생성해주는 값이다. 66번째 줄의 002는 일반사용자가 만들 때의 허가권을 생성해주고, 68번째 줄의 022는 관리자가 만들 때의 허가권을 생성해준다..
리눅스에는 흔히 우리가 아는 퍼미션(허가권)외에 '특수 권한' 이 존재한다. 일반적인 권한은 rwxrwxrwx의 형태이다. 아래 설명에서는 시각적으로 도움을 주기위해 rwxrwxrwx 처럼 붙여 쓰지않고 세자리씩 rwx rwx rwx 처럼 띄어서 작성했다. TYPE OWNER 소유자-user GROUP 그룹 OTHER 제3자 d , - 디렉터리, 파일 r w x r w x r w x 4 2 1 4 2 1 4 2 1 특수 권한은 SetUID, SetGID, StickyBit 이렇게 세 가지의 종류가 있다. 먼저 SetUID SetUID는 rwx rwx rwx가 아닌 rws rwx rwx 의 형태이다. 세 번의 rwx중 첫 번째 rwx의 x가 s로 표기된다. 퍼미션값도 4XXX의 형태가된다. ex) 4777..
압축(Compress) 여러 개의 데이터들을 하나로 묶어서 용량을 줄임. 윈도우 : 알집, 반디집, 7zip 리눅스 : zip gzip bzip2 xz 리눅스에서는 압축을 하거나 해제할 때 원본은 사라진다. 압축 대상은 '파일'만 가능하고 기본적으로 1개만 가능하다. (1) gzip [압축할 파일이름] -> *.gz ●기본 압축 명령어 ●압축 속도 높음 해제 = 1) gzip -d [압축된 파일이름.gz] 2) gunzip *gz (2) bzip [압축할 파일이름] -> *.bz2 ●gzip보다 압축률이 높다 해제 = 1) bzip2 -d [압축된 파일이름.bz2] 2) bunzip2 *.bz2 (3) xz [압축할 파일이름] ●gzip, bzip보다 압축률이 매우 높다. 따라서 대용량 압축하는 용도로 ..
사용자 삭제시 옵션을 사용하지않고 계정 자체만 삭제하면 그 사용자의 데이터는 남는다. (메일정보, 홈디렉터리) 이때 해당 사용자를 다시 복구시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. 다시 유저를 생성할 시에 메일과 홈디렉터리는 이미 있는 상태이므로 옵션 -d를 사용해 계정'만' 만들어준다 단, 이 때 user6라는 홈디렉터리가 남아있는 것이므로 다시 생성해줄 계정의 이름도 반드시 홈디렉터리와 같은 이름의 user6로 해주어야 한다. 먼저 user6라는 계정을 /export/home/user6라는 홈디렉터리에 만들겠다는 유저생성 명령어를 사용한다. # useradd -d /export/home/user6 user6 useradd: 경고: 홈디렉터리가 이미 있습니다. skel 디렉터리에서 파일을 복사하지 ..

TYPE OWNER 소유자-user GROUP 그룹 OTHER 제3자 d , - 디렉터리, 파일 r w x r w x r w x 4 2 1 4 2 1 4 2 1 허가 = modification 허가권 변경 = chmod (Change midification) 문법 = chmod [허가권 값] [파일 or 디렉터리] 허가권 변경방법 1) 숫자 - # chmod 644 grub.cfg 허가권 변경방법 2) 문자 - # chmod u+r,g-r,o-r,o+x grub.cfg # chmod u+r,g-r,o-r+wx grub.cfg 문자를 사용한 허가권 변경시 허가권 문자입력 시 띄어쓰기를 하면 안된다. r = 읽기권한. read 파일 = 파일 안의 내용이 보이는지 여부 디렉터리 = 디렉터리 안의 내용물이 보이..

사용자와 관련된 자료 /etc/passwd 사용자 계정 정보의 저장 장소 /etc/shadow 안전하게 보호될 사용자 계정 정보가 들어있는 장소 결과 화면에서 느낌표가 !! 2개가 있는 계정은 비밀번호가 설정되지 않은 계정이고 느낌표가 ! 개인 계정은 로그인이(사용이) 잠긴 계정이다 /etc/group 계정이 속한 그룹ID 및 그룹 목록들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는 장소 /etc/gshadow 그룹의 암호 정보 저장 장소 /home 사용자별 개별 홈 디렉터리가 생성되는 기본 디렉터리 /etc/login.defs /etc/default/useradd /etc/skel 계정 생성시 참조되는 기본설정 정보 tstory : x : 1000 : 1000 : Tstory : /home/tstory : /bin/bash..

Vi Editor는 문서 편집기이다. # vi [편집할 파일이름/경로] 의 형식으로 사용한다. Vi 편집기는 1976년 빌 조이가 초기 BSD 릴리즈에 포함될 편집기로 제작했다. 줄 단위 편집기가 아닌 한 화면을 편집하는 Visual editor 라는 뜻에서 유래했다. 명령, 실행, 입력모드가 있다. 명령모드 ● Vi의 기본모드이다. ● Vi가 처음 실행되거나, 입력모드에서 ESC를 누른경우 ● 커서이동, 문자열 수정, Copy & Paste 등 ● 엔터키를 누를 필요없이 각각의 명령에 따른 버튼을 누르면 바로 실행된다 입력모드 ● 버퍼에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모드 ● 명령 상태에서 i,a,o 등의 키를 누르면 진입 ● 하단에 --INSTERT-- 라고 표시된다 ●R을 누른 경우에는 --REPLACE-..